♡ [密敎人物思想史 12] - 혜통국사(惠通國師) ♡ 12. 혜통형태의 밀교 순수밀교를 전래한 사실이 확실한 혜일대사, 「관정경」의 호국적 문두루법을 전한 명랑법사와 더불어 신라에 또 다른 형태의 밀교를 전래한 인물로 혜통국사(惠通國師)가 있다. 그에 대해서는 『삼국유사』「혜통강룡조」에 출가동기를 시작으로 재당행적(在唐行.. ,·´″```°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2012.08.02
♡ [密敎人物思想史 11] - 혜일대사(慧日大師) ♡ 11. 혜일대사(慧日大師) 1) 신라의 밀교 7C경 인도에서 대일경, 금강정경이 성림됨으로 말미암아 밀교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그래서 7C 이후의 밀교를 순수밀교(순밀)라 하고 그 이전의 밀교적 요소를 잡부밀교(잡밀)라 한다는 것은 앞에서도 언급한 .. ,·´″```°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2012.08.02
♡ [密敎人物思想史 10] - 혜과화상(慧果和尙) ♡ 10. 혜 과 화 상(慧果和尙) 1) 불공삼장과 인연 혜과화상의 속성은 마(馬)씨이다. 그가 당나라 장안의 동방교외인 소응이란 곳에서 태어난 746년은 불공삼장이 밀교경론을 구하기 위해 세이론과 인도를 여행하고 다시 장안으로 돌아온 해이다. 이러한 기연으로 해서인지 화상(和尙)의 구법(.. ,·´″```°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2012.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