漫步人生 - [密敎人物思想史 Part_11] - 혜일대사...! 11. 혜 일 대 사 1) 신라의 밀교 7C경 인도에서 대일경, 금강정경이 성림됨으로 말미암아 밀교가 체계적으로 정리되었다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그래서 7C 이후의 밀교를 순수밀교(순밀)라 하고 그 이전의 밀교적 요소를 잡부밀교(잡밀)라 한다는 것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 있다. .. ,·´″```°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2011.05.27
漫步人生 - [密敎人物思想史 Part_10] - 혜과화상...! 10. 혜 과 화 상 1) 불공삼장과 인연 혜과화상의 속성은 마(馬)씨이다. 그가 당나라 장안의 동방교외인 소응이란 곳에서 태어난 746년은 불공삼장이 밀교경론을 구하기 위해 세이론과 인도를 여행하고 다시 장안으로 돌아온 해이다. 이러한 기연으로 해서인지 화상(和尙)의 구법(求法)은 불.. ,·´″```°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2011.05.27
漫步人生 - [密敎人物思想史 Part_9] - 일행선사...! 9. 일 행 선 사 밀교의 인물인 일행(一行)을 선사(禪師)라고 칭하는 것은 그가 선종(禪宗)에서 출가하였기 때문이다. 683 년 위주의 창락(昌樂 : 하남성의 남쪽)에서 태어난 그의 속성은 장, 이름은 수라고 했다. 지금까지 언급했던 당대(唐代) 밀교인물이었던 금강지, 선무외. 불공등이 인도.. ,·´″```°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2011.05.27
漫步人生 - [密敎人物思想史 Part_8] - 불공삼장...! 8. 불공삼장 1) 밀교경전 번역가 하나의 사상이 그 발생지에서 부터 다른 지역으로 전달되기 위해서는 그 사상을 표현하고 있는 언어가 전달되어야 한다. 더욱이 두 지역의 언어가 서로 다르다면 전달하고자 하는 지역의 언어로 번역되어져야 한다. 만일 아무리 고매하고, 훌륭한 사상이 .. ,·´″```°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2011.05.27
漫步人生 - [密敎人物思想史 Part_7] - 선무외 삼장...! 7. 선무외 삼장 (1) 대일경의 최초 한문번역자 「밀교」라고 하는 이름이 인도에서 정식으로 거론되기 시작한 것은 「대일경」과 「금강정경」이 성립하던 7C경 부터이다. 그 이전의 여러 경전에서는 밀교적 요소를 부분적으로 갖고 있기는 하였지만 체계화되지 못한 상태였다. 그러하던 .. ,·´″```°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2011.05.27
漫步人生 - [密敎人物思想史 Part_6] - 금강지 삼장...! 6. 금강지 삼장 1)금강정계밀교의 최초 중국전래자 금강지삼장은 금강정계밀교(金剛頂系密敎)를 최초로 중국에 전래한 사람이다. 그를 금강지삼장이라고 이름하는 바와 같이 불교의 학문에서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영험한 능력을 갖고 있었다. 삼장(三藏)이란, 부처님의 설법 중 수행에 .. ,·´″```°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2011.05.27
漫步人生 - [密敎人物思想史 Part_5] - 명랑법사...! 1) 삼국유사의 이야기 선무외·금강지 계통의 밀교를 전수받고 신라에 밀교를 전래한 사실이 확실한 이는 혜일대사이다. 그러나 혜일대사 이전에 이와는 다른 성격의 밀교를 전래한 우리나라 밀교 역사상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인물로 명랑법사가 있다. 명랑법사에 대한 자료는 혜일대.. ,·´″```°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2011.05.27
漫步人生 - [密敎人物思想史 Part_4] - 龍智菩薩(용지보살)...! 4. 용지보살 밀교의 여러 인물 가운데 전기(傳記)가 가장 불명확한 사람이 용지보살(龍智菩薩)이다. 그에 관한 자료 가운데 가장 오래된 한역(漢譯)기록이 불공삼장이 번역한 금강정유가삼십칠존출생의(金剛頂瑜伽三十七尊出生義)이고 그것을 바탕으로 한 「금강지삼장행기」「탑명병.. ,·´″```°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2011.05.27
漫步人生 - [密敎人物思想史 Part_3] - 龍猛菩薩(용맹보살)...! 4. 용맹보살(龍猛菩薩) 1) 생애 용맹이란 말은 산스크리트어의 나아가아르주나(nagar junah)를 한역한 것인데 구역(舊譯) 에서는 이것을 용수(龍樹)라 번역한다. 용맹보살의 출생연대에 대해서는 많은 설(說)이 있으나 대략 2∼3C경으로 추정하고 있다. 나집(羅什 344 ∼ 413)에 의해 번역된 「용.. ,·´″```°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2011.05.27
漫步人生 - [密敎人物思想史 Part_2] - 금강살타보살...! 2. 금강살타보살 1) 말 뜻 금강살타란 말은 범어의 「바주라사트바」를 번역한 것이다. 「vajra」가 금강이란 말로 의역(意譯) 되었고 「sattva」가 살타란 말로 음역(音譯)되어 이것이 합쳐져서 「금강살타 」가 된 것이다. 금강(金剛) 즉 vajra는 원래 제석천이 가지고 있는 금강저(金剛杵) 라.. ,·´″```°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2011.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