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漫步人生 - [密敎資料] - 밀교의 개념(고익진교수 논문중에서)...!

♥ VajraYana ♥ 2011. 10. 2. 01:00

밀교의 개념

(고익진, 신라밀교의 사상내용과 전개양상중에서)


종교에 있어서 선신(善神)에 대한 기원(祈願)적 태도를 취하는 대표적인 행위가 기도라면, 악신(惡神)에 대한 통어(統御)적 태도를 취하는 대표적인 행위는 주술(呪術)이라 할 수 있다.

전자가 은총(恩寵) ·용서(容恕) ·구호(救護) 등을 기대한다면, 후자는 치병(治病) 재액( 除厄) 조복 (調伏) 등을 기대한다. 그러나 실제적인 종교에서는 그러한 두 가지 종교적 행위는 서로 착종(錯綜)하여 명확한 구별이 어려움은 물론이다. 기도에도 개인의 치병(治病) ·재액(除厄) 등이 오를 수 있고 주술에도 선신(善神)과 강력한 수호력(守護力)이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神)을 중심으로 한 종교에는 기도와 함께 의례히 주술(呪術)도 수반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불교는 다른 종교와는 달리 인간의 길흉화복(吉凶禍福)은 신령(神靈)에 의한 것이 아니라, 각자가 짓는 업(業)의 과보(果報)임을깨우쳐 선업(善業)을 닦게 하는 업설(業說)을교설의 기반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아함경과 같은 불교의 원시경전에 기도나 주술을 권하는 교설이 나타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렇다고 해서 인도의 전통적인 신들을 전적으로 부정한 것은 아니었다. 브라마니즘의 신들도 업보(業報)의 몸이라는 해석을 가하여 불교에 포섭하고 있는 것이다. 불교의 이러한 전통적인 신의 포섭은 기도와 주술까지도 마침내는 불교에 포섭케 되는 실마리가 되었던 것 같다.

대승불교의 초기에 경전에는 기도적인 관음(觀音) ·정토(淨土)신앙과 함께 주술(呪術)적인 다라니(神呪)가 많이 설해지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대승(大乘)불교가 애초에 재가인(在家人)을 폭넓게 수용한 까닭에, 그들의 세속적인 욕구도 충족시켜줘야 할 요청 때문이었는지 모른다. 어떻든 기도(祈禱) ·주술(呪術)적인 경향(傾向)은 시대가 흐를 수록 더욱 심화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주술(呪術)적인 불교의 성행(盛行)은 가위 폭발적이라 할 수 있어 무수한 다라니 경전이 그 뒤에 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하여 7세기 중엽 대일경(大日經)과 금강정경(金剛頂經)의 성립을 보게 되는데, 여기에 설해진 주술적인 불교는 그 이전과는 획기(劃期)적인 차이점을 드러내고 있다.

우선 사상적으로 중관(中觀)과 유식(唯識)이라는 두 대립적인 대승(大乘)사상을 하나로 종합하여 진언문(眞言門) ·금강승(金剛乘)이라는 새로운 성불(成佛)의 철학체계가 조직되고, 그것이 다시 만다라(曼茶羅)라는 구체적인 도상(圖像)에 구현(具現)되며, 그에따라 다라니를 염송(念誦)케 하는 체계적인 주술의례(呪術儀禮)간 조직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설주(說主) 또한 석가(釋迦)에서 대일여래(大日如來)로 바뀌고 의례(儀禮)의 목적 또한 단순한 제액(除厄) ·초복(招福) 등에서 심오한 밀교(密敎)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이상과 같은 두 단계의 주술적인 불교를 통칭하는 술어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대일경(大日經)과 금강정경(金剛頂經) 성립 이전과 그 이 후를 식별코자 할 때는 모호하여, 일본(日本) 진언종(眞言宗)에서는 전자를 잡부밀교(雜部密敎), 후자를 순수밀교(純粹密敎)라는 말로 구별하고 있다. 전자를 초기밀교, 후자를 중기밀교, 다시 그뒤의 좌도(左道)적 경향을 후기밀교로 구별하는 학자도 있다.

그렇다면 우리 한국에서는 그 두 밀교를 어떻게 식별하여 부르는 것이 좋을까? 필자의 생 각으로는 그 두 가지 밀교에서 가장 두드러진 현상은 전자에서는 무수한 다라니가 설해지고, 후자에서 그위에 다시 만다라가 설해지고 있으므로 전자를 다라니 밀교, 후자를 만다라 밀교로 부르는 것이 어떨까 한다. 그러나 굳이 술어에 집착할 필요는 없을 것 같아 이 글에서는 종래의 술어를 적당히 사용해 나가고 한다.(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