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³о☆ [卽身 成佛]/♡ 密敎資料室...!

漫步人生 - [密敎資料] - 인도밀교의 형성과정고찰(1), 밀교의 정의, 기원...!

♥ VajraYana ♥ 2011. 10. 3. 02:06

인도 밀교의 형성 과정 고찰

<서설>

1. 밀교의 정의

「밀교(密敎)」란 「비밀 불교(秘密 佛敎)」의 약칭이다. 인도(印度), 유럽, 미국(美國)의 학자들은 그것을 「비교적 불교(比較的 佛敎, Esoteric Buddhism」이라던가 불교 내의 비교라 부른다. 보통 비밀불교(秘密佛敎)라 부르기도 하고 교의상의 특색을 여러 가지 각도에서 포착한 이칭(異稱)도 그 수가 많다. 그래도 이칭(異稱)은 제각기 역사적인 배경이 있고 내용의 이동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여러 가지의 밀교의 이칭을 하나씩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고 그 위에서 밀교가 가진 의미의 외연과 내포를 명확하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기 위하여 동서 고금에 걸쳐서 밀교적인 생각이 나타난 이상 여기서의 밀교는 인도의 밀교, 불교의 밀교로 규정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여기서 밀교적(密敎的)인 것과 밀교(密敎)를 구별해두지 않으면 안된다. 불교는 인도에서 일어났고 동남 아시아에 널리 전파된 가르침이기 때문에 그 원의(原義)를 구하는 데 있어서도 인도의 입장으로 돌아가지 않으면 안된다. 많은 학자들이 여러 가지 실례를 수집하고 그 경중을 판단해서 대표적인 것으로 보여지는 용어들을 들고 있으나 누구에게 있어서도 반드시 확인되고 있는 호칭은 금강승(金剛乘;Vajryana)이다.

인도에 있어서 비밀불교의 개척자인 Bhatta-carya 박사는 후세에 타락한 형태의 불교를 금강승(金剛乘) 혹은 딴뜨라 불교라 부르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유럽의 학자들은 이러한 견해를 갖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들이 말하는 밀교에 상당하는 고대 인도어의 일반적 호칭은 금강승(金剛乘)이라고 볼 수 있다. 이 금강승이 교리(敎理)와 교단(敎團)과 경전(經典)을 포함해서 인도 후기 불교의 호칭인 것과 더불어 그 경전의 특색을 포착하는 또하나의 호칭 「딴뜨라 불교」(Tantric Buddhism)가 외국인 학자들이 인도 불교를 부르는 통칭(通稱)이다.

그러나 그 호칭은 본래 딴뜨라 승(乘)을 의미하였으나 현재에는 그 이미지가 꽤 달라진 것으로 되어 있다. 딴뜨라의 정의는 곤란하나 그것은 베다 이외의 체계인 것은 틀림없고 실제는 성력(性力;Sakti, 女性의 에네르기)의 숭배(崇拜)가 중심으로서 남녀의 합일의 교리와 실천이 중요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명확하다. 그것은 불교 딴뜨라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따라서 그 점만으로는 비성력적(非性力的)인 체계를 포함한 호칭인 금강승(金剛乘)과 성력적(性力的)인 세계를 포함한 호칭인 금강승(金剛乘)과 성력적(性力的) 체계의 명칭인 딴뜨라 불교 혹은 딴뜨리즘과는 구별할 필요가 있다.

2. 밀교의 연구 방법

밀교를 역사상의 과제로서 거론할 때 그것은 단순히 불교의 최종기(最終期)에 위치하는 시간적 의의를 의미하는 것만은 아니다. 그것은 당연히 선행할 수 있는 불교교의(佛敎敎義)를 모두 포함하는 동시에 널리 불교 이외의 사상, 종교도 초기 불교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게 교섭(交涉)되고 있다. 밀교란 시간적으로 최종기의 불교이고 위치적으로는 최국극(最究極)의 불교인 것을 자인하고 있던 불교라고 할 수 있다. 금강승(金剛乘)이라고 하는 명칭은 바로 이 점을 자각하였다.

밀교의 역사적 연구에서 명확하게 할 수 있는 것은 첫째로 무엇보다도 밀교가 대승 불교의 정통적인 계승자이고 나아가 석존(釋尊)에 의한 교시의 부활자라고 하는 점이다. 둘째로 밀교의 역사적인 연구는 밀교의 독자성을 명확하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셋째로 밀교가 가진 다양성은 통불교사와 같이 교회사적 연구로서는 다 할 수 없는 여러 가지 연구 방법을 요구한다. 넷째는 우리들이 대성했던 하나의 종교가 어떻게 난숙(爛熟)하고 어떻게 붕괴(崩壞)해가는 가 하는 교리사상(敎理史上)의 문제이다. 이상의 네 가지는 선인의 업적 위에 다시 밀교사의 연구를 가하는 경우에 없어서는 안될 최소의 요건이라고 생각된다.

불교 특히 밀교는 때때로 이질적(異質的)인 문화를 포함하고 일종 독특한 복합문화(複合文化)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그것을 연구함에는 교리사(敎理史), 교단사(敎團史)와는 다른 새로운 연구 방법론이 요청되지 않으면 안된다. 거기에는 종래의 불교사 내지 밀교의 주류를 점하고 있던 철학사적(哲學史的), 사상사적(思想史的)인 각도에서 하는 분석 내지 서술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종래의 불교사(佛敎史)가 답습하고 있는 연구 방법보다는 종교사학(宗敎史學) 사회학(社會學), 민속학(民俗學), 고고학(考古學), 언어학(言語學), 등 인문과학(人文科學), 사회과학(社會科學) 특히 자연과학(自然科學)에도 걸치는 연구방법과 연구성과가 채용(採用)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이 복합문화의 정점(頂點)에선 밀교의 역사는 금후 한층 인문과학(人文科學), 사회과학(社會科學), 나아가 자연과학(自然科學)의 성과(成果)에 입각한 종합적인 입장에서 검토되지 않으면 그 전반적인 해명은 기대될 수 없다. 그러므로 여기서는 인도 밀교의 발생 조건과 성립 과정을 논함에 있어 주로 교리사적인 측면에서 다루려고 한다. 그리고 그 시간적인 범위는 밀교 발생의 전제조건인 인도 고대문화인 「베다」시대부터 밀교 경전인 「대일경(大日經)」, 「금강정경(金剛頂經)」의 성립까지를 잡았다. 밀교가 발생하게된 선구사상을 규명하여 밀교 기원을 찾아보고 거기서 싹튼 밀교가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AD 7세기 중엽에 완전한 밀교 경전이 성립되었는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물론 교단사적인 측면에서도 다루어야하겠지만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정통밀교에 대한 연구실적이 거의 없고 자료상의 문제도 있고 밀교의 교단성립은 인도 불교 상에서 완성된 밀교 이후에 많이 일어났기 때문에 교리사의 측면만을 강조하였다.

또한 본래 미개척적인 분야에서 필자가 독특한 이론을 전개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여 주로 이미 이룩된 업적을 종합 정리하고 거기에 이해된 바를 기술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밀교가 불교내에서 서서히 싹이 트고 드디어 대승불교의 후계자로서 각광을 받았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없고 그렇게 될 수 있었던 내적인 원인을 찾아보는 것이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생각하여 교리사적인 방면에 큰 비중을 두고 고찰하였다.

<인도(印度) 밀교(密敎)의 기원(起源)>

1. 인도(印度) 고대(古代) 문화(文化)

(1)Arya 문화와 비 Arya 문화

서력 기원전 천오백년에서 이천오백 경 코카서스(Caucasus) 북방을 원주민으로 하는 아리아(Arya) 인의 일부가 힌두쿠시 산맥을 넘어 인도로 침입하여 왔다. 그들은 인더스 강 상류 펀잡(Punjap) 지방에 자리잡고 독자적인 문화를 가졌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인도 아리아인(Indo-Arya)인이라고 불리워지고 그 문화를 아리아 문화라고 불렀다. 그 이래 인도에 있어서 아리아 문화가 주도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한편 아리아 인의 이주보다 이전에 인도에는 다른 몇 개의 민족이 정주하고 제각기의 문화를 이루어 왔는데 인더스 문명은 그 대표이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인더스문명의 존속기간은 서력전 2000년을 중심으로 전후 천년사이라고 생각되고 있다.

아리아인에 의해 정복된 선주민(先住民)은 현재 남인도 일대에 살고 있는 드라비다인의 선조인 동시에 중인도 고원지대에 산재해 있는 문다인도 포함하고 있다고 생각딘다. 인더스문명의 유품에 의하면 그들 수(獸) 조(鳥) 수목(樹木) 여신(女神) 등에대한 숭배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종교적인 실천법으로 요가를 행하였는 듯 하다. 그들은 일상생활과 생산활동에 직접 연결된 주술을 오랫동안 사용하여 왔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이러한 비(非)아리아인의 문화가 후세 힌두교에 적지 않게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심할 수 없다.

밀교도 또한 많은 소재를 (非)아리아문화에서 계승하고 있다.
아리아인이 「펀잡」지방에 정주한 후 최초로 이룩한 문헌이 「리그베다」이다. 계속해서 서력기원전 1000년에서 500년 사이에는 「사마」, 「야주루」, 「아타르바」의 삼「베다」가 만들어 졌다. 베다신화에 나타나는 신의 대부분은 아리아인의 기원을 알려주고 있으나 그중에는 선주민을부터 받았다고 추측되는 신도 섞여있다. 리그베다에 나타나는 신격이 발전하고 혹은 토속신과 결합하여 후에 밀교의 「만다라」중에 편입된 것도 적지않다. 예를들면 「인드라」-제석천, 「바루나」-수천, 「아그니」-화천, 「소마」-월천, 「바유」-풍천 등이 그 대표이다. 또 밀교의 대일여래 즉 「비로자나」의 기원은 「아수라」에 까지 소급하기도 한다.

밀교의 진언도 그 시원은 「리그베다」의 「만트라」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그것은 아리아인이 인도에 침입하기 이전에 아리아인과 공주(共住)하고 있던 시대에까지 소급하여 생각할 수 있다. 고대 인도인에 있어서 종교의식과 주법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 아니었다. 물론 베다의 제축도 주법과 밀접히 결합되어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리그베다의 신에 바쳤던 진언내에는 30가지에 이르는 주법의 찬가가 있다. 그것은 병의 치료, 원적의 방수, 위해의 제거 혹은 기우, 전승 등에 관한 주문이다.

아리아문화가 갠지즈강 하류 지방에서 동으로 남으로 발전함에 따라서 토착문화와의 접촉 융합, 동층화는 점점 더 심화한다. 그 결과 직접 생산에 종사하고 있던 토착민의 사상과 문화가 점차로 역사의 표면에 반영되기 시작하고 아리아의 종교내에 섭취되어 갔다.

(2) 인도의 신과 주술
앞에서 보아온 것과 같이 「만트라」라는 말이 불교경전 전집에 결쳐 있고 「금강대승」이라는 용어가 간단히 「대승」이라는 말로 표현을 바꿀 수 있다면 정도의 차이는 있어도 불교전체가 밀교적 내용을 가지고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므로 소위 밀교를 주관적으로 보아서는 그 기원을 역사적으로 규정하기가 곤란하다. 적어도 종래와 같이 「주술적 요소」의 배태와 발달을 가지고서 밀교의 기원과 발달을 논하는 것은 어떠한 새로운 학적가치를 가질 수 없게 된다. 우선 주술적 요소를 밀교의 특질로써 들고 있는 것이 무의미한 것이라는 점을 알아야 한다.

「터치」(G.Tucci)교수도 주술적 성격은 인도종교 전반에 통하여 있는 특색으로 들고 있다. 밀교는 이 주술적 요소를 방치하는 것이 아니라 주술적 의의를 다각적 방법으로 재평가하고 고도로 높은 사상, 내용의 분명한 표현법으로서 민중의 구제와 교단의 확대에 불가분의 힘을 발휘했던 것으로서 그 의의를 보고 있는 것이다.

「리그베다」에 있어서 사람들의 현세적인 소망을 신들에 의해서 달성하려고 한 방법들은 이후에 인도 제종교의 지조를 이루고 있다고 생각되어진다. 「리그베다」에서 볼 수 있듯이 「인도아리아인」들이 신의 앞에서 경건하게 봉사하는 자세는 정말로 가식이 없고 진실하게 보여진다. 그들의 목적은 현세적이다.

「열가지 이익」을 구해서 그 달성을 원하고 신의 앞에 꿇어 앉는다. 그래서 다음에 그 목적에 따라서 그 목적에 맞는 신을 많은 신중에서 선택해 낸다. 무력을 원하면 「인드라」를, 공예의 완성을 원하면 「트바수리아」를, 치병을 희망하면 수신(아뿌)을, 명예 복덕을 원할 때는 풍신(바유)을 택한다.

「미먕샤슈트라」에 신격이 충분히 설해져 있지 않은점을 보충하기 위한 「상까르샤」편에 논의되고 있는 신격을 보면 그것은 결코 최고신, 혹은 주재신이라고 불릴 수는 없는 것이고 제축에 필요한 신인 것이 분명하다. 그러므로 인도의 신은 정통적 철학자에 의해서 생각되고 있던 최고신 혹은 주재신이 아난 것은 물론 제축에 필요한 개개의 신격으로서 조차도 그 권위가 결코 높은 것이 아니였다. 그것은 제기의 일구성요소로서 불이나 우유등의 재료와 함께 생각되고 있는 것을 알지 않으면 안된다. 인도에 보다 정통적인 신의 관념은 이와 같은 것이다.